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알바 계산법, 조건, 계산기 활용

김허욱띠 2023. 12. 3. 15:48

오늘은 알바 주휴수당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의 계산법, 받을 수 있는 조건, 그리고 주휴수당을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멘붕 온 사장님 필독!

 

최근에 새로운 알바를 채용하며 주휴수당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던 대표님들이 많다고 합니다. 특히 방학을 맞이한 학생 등 새로운 인력이 참여하는 시기에 주휴수당을 놓치지 않도록 이 글을 참고해보세요.

주휴수당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사용자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노동자에게 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 이에 따른 수당이 주휴수당입니다. 이 혜택은 4인 미만의 사업장의 알바도 포함되며, 1주일간 규정된 근무 시간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조건

알바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근로계약서로 약속이 있어야 합니다. 결근 없이 개근해야하며, 결근이나 조퇴 시 해당 시간은 수당에서 제외됩니다. 예외적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받을 수 있으며, 12시간 근무 후 추가로 3시간 일한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1주일을 일한 후 다음 주에 퇴사할 시 주휴수당을 받을 의무는 없습니다.

 

공휴일 예외 상황

상시근로자가 4인 이하인 사업장은 공휴일 유급휴가를 적용받지 못하며, 5인 이상 300명 미만의 기업은 적용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은 1일 근무 수당으로 계산되며, 이때 주 40시간 이상.이하 근무에 따라 수당이 달라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근로기준법에서 1주일 총 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이더라도 40시간까지만 인정되므로 주휴수당을 계산 시 40시간 이상.이하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40시간 미만 근무: 시급 X 일 평균 근로시간 = 주휴수당

-40시간 이상 근무: 시급 X 일 평균 근로시간 (8시간) = 주휴수당

 

주휴수당 계산 예시

실제로 센터에 고용한 알바생의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일 총 5시간, 1주일 중 5일 근무한 경우, 시급이 9,620원이라면 주휴수당은 48,100원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1. 검색창"주휴수당 계산기" 검색 후 해당 계산기를 활용합니다.

2. 시급 옆 주급을 선택하고 근무시간을 입력하면 예상 주휴수당이 나옵니다.

 

오늘은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과 조건, 계산기를 이용해 쉽게 알아보는 방법까지 소개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고용부담이 커져가는 시기에, 주휴수당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알바의 경우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으니, 정확한 계산법을 알아두신 후 챙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