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생들을 위한 필수 정보! 이번에는 알바 주휴수당의 계산법과 지급 조건, 주휴수당이 미지급될 경우의 해결 방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정규직이 아닌 단기 아르바이트에서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것은 난해한 문제입니다. 오늘은 이런 주휴수당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계산법과 지급 조건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 기본개념 & 지급조건
주휴수당은 노동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아야 하는 돈으로, 주휴일에 통상적 근로일의 시급을 주급 외에 지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간과 시간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법적으로 일정한 기간, 시간 동안 일하면 받을 의무가 있는 것이 주휴수당이지만, 무조건 받을 수는 없고, 아래 조건에 충족할 경우에 지급이 가능하다.
✅ 시간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 계약
계약서에 명시해둔 시간, 일수 성실하게 이행
주의
결근, 연차 사용 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주휴수당을 받게 되는 가장 큰 조건이 바로 근로를 계약된 기간동안 개근을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쪼개기 계약
최저시급이 오르며 고용주들은 주 15시간을 채우지 않기 위해서 쪼개기 계약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결국 쪼개기 계약은 주휴수당은 물론 퇴직금 지급 조건에서도 제외되어 근로자에게 분리한 조건일 수밖에 없음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 각각의 시급이 조금씩 차이가 있고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하는 만큼 기본적인 계산법을 기억하고 있어야 내가 받아야 할 마땅한 권리를 챙기실 수 있습니다. 주 5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하는 계산법을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기본계산법(주 5일 40시간 이상 근무)
1주일 총 소정근로시간 ÷ 40시간 X 8시간 X 시급
예시⬇
- 주당 근무시간 : 40시간
- 시급 : 1만원
- 40시간 ÷ 40시간 =1
- 1 X 8시간 X 시급(1만원)
- 1주 주휴수당 = 8만원
주당 40시간을 근무 시 위의 기본공식을 적용하면 매주 8만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 20시간(주 40시간 미만) 근무하는자
1주 근무시간 ÷ 5일 X 최저시급
예시⬇
- 2023년 최저시급 9,620원
- 주3일 20시간 알바, 결근 조퇴 없이 근무 시
- 20시간 ÷ 5일 = 4시간
- 4시간 X 9,620원 = 38480원
- 주휴수당 = 38,480원
추가근무할 경우
정해진 근무시간 외에 추가 근무 시 연장 시간 동안의 근로 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으나 주휴수당에는 추가 금액이 적용되지 않는다.
시급제, 월급제 주휴수당 계산법
시급제 근로자의 경우 시급에 0.2를 곱해 시간당 주휴수당을 계산하고,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기본급을 209시간으로 나눈 뒤 35시간을 곱하여 한 달간의 주휴수당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계산법이지만, 이를 활용하면 나만의 주휴수당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시, 응징방안
주휴수당이 미지급될 경우에는 철퇴로 대구리를.. 할 순 없고, 꼭 신고해야 합니다. 사업주는 임금체불로 처벌을 받게 되며, 퇴사 후 14일 이내에 미지급된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주휴수당이 제대로 주어지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계약서에 적혀있지 않아도 의무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임금입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지급 조건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급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민원을 제기하여 꼭 받아야 할 권리를 지키도록 합시다. 최악의 경우에는 철퇴를 고려.. 아닙..니다.